Seungchul Shin
Werkstatt_작업실

G renze
O der
D azwischen
_경계 또는 그 사이
  • 홈
  • 포트폴리오
  • 소개
    • 프로필
    • 수상경력
    • 활동이력
  • 문의
한국어
  • 한국어

Seungchul   Shin _ 신 승철

G renze O der D azwischen _경계 또는 그 사이에서
​
KakaoTalk_20250430_015156653_02.jpg

v i t a_소개


1987년 대전에서 태어났습니다. 사진, 미술, 음악, 글, 여행, 자연을 좋아해서 건축을 공부해보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그 이후 2006년 강릉에 있는 관동대학교 건축학부에 입학을 하여 2014년 학사과정으로 졸업을 했습니다. 그 후 2015-2020 대략 5년동안 독일에서 생활을 하며 실무건축분야 및 예술(그림)분야에 경험을 축적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영역들이 배움의 도구로서 가치를 두고 살아가는것 같습니다. 직업적 목표는 이러한 관심있는 영역들과 함께 "공공예술"  "자연순응"이라는 모티브(Philpsophie)로 삼아 작업을 하는데 의미를 찾고자 합니다. 


Ich wurde 1987 in Daejeon, Südkorea, geboren. Meine Interessen sind Fotografie, Malerei, Musik, Schreiben, Reisen und Natur. Also entschied ich mich, Architektur zu studieren. Nach der Immatrikulation im Jahr 2006 absolvierte ich 2014 meinen Bachelor-Abschluss. Danach lebte ich einige Jahre in Deutschland und sammelte dort Erfahrungen in Architektur und Kunst, die für mich einen großen Lebenswert haben. 



g e d a n k e _ 생각/사고/이념

​

저는 제 예술 작업에서 내면의 감정이 자연의 리듬과 맞닿는 찰나의 순간을 포착하려고 노력합니다.

특히 저는 계절의 변환, 빛과 어둠의 조화, 그리고 사람들의 얼굴에 비치는 섬세한 감정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 작업들은 구상과 추상의 경계 위에서 존재합니다.

인물은 명확하지만, 그들이 놓인 공간은 현실과 비현실의 사이를 흐릅니다.

그림 속 배경은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감정과 시간, 기억이 녹아든 심리적 풍경입니다.

특히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는 그 찰나의 감정’처럼, 희미하지만 분명한 변화를 화면에 담고자 합니다.


그림 속 등장인물은 때로는 나 자신이고, 때로는 보는 이의 마음을 비추는 거울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림Seungchul Shin _ 신 승철

G renze O der D azwischen _경계 또는 그 사이에서

​




v i t a_소개


1987년 대전에서 태어났습니다. 사진, 미술, 음악, 글, 여행, 자연을 좋아해서 건축을 공부해보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그 이후 2006년 강릉에 있는 관동대학교 건축학부에 입학을 하여 2014년 학사과정으로 졸업을 했습니다. 그 후 2015-2020 대략 5년동안 독일에서 생활을 하며 실무건축분야 및 예술(그림)분야에 경험을 축적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영역들이 배움의 도구로서 가치를 두고 살아가는것 같습니다. 직업적 목표는 이러한 관심있는 영역들과 함께 "공공예술" "자연순응"이라는 모티브(Philpsophie)로 삼아 작업을 하는데 의미를 찾고자 합니다. 




Ich wurde 1987 in Daejeon, Südkorea, geboren. Meine Interessen sind Fotografie, Malerei, Musik, Schreiben, Reisen und Natur. Also entschied ich mich, Architektur zu studieren. Nach der Immatrikulation im Jahr 2006 absolvierte ich 2014 meinen Bachelor-Abschluss. Danach lebte ich einige Jahre in Deutschland und sammelte dort Erfahrungen in Architektur und Kunst, die für mich einen großen Lebenswert haben. 




g e d a n k e _ 생각/사고/이념


​

저는 제 예술 작업에서 내면의 감정이 자연의 리듬과 맞닿는 찰나의 순간을 포착하려고 노력합니다.

특히 저는 계절의 변환, 빛과 어둠의 조화, 그리고 사람들의 얼굴에 비치는 섬세한 감정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 작업들은 구상과 추상의 경계 위에서 존재합니다.

인물은 명확하지만, 그들이 놓인 공간은 현실과 비현실의 사이를 흐릅니다.

그림 속 배경은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감정과 시간, 기억이 녹아든 심리적 풍경입니다.

특히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는 그 찰나의 감정’처럼, 희미하지만 분명한 변화를 화면에 담고자 합니다.


그림 속 등장인물은 때로는 나 자신이고, 때로는 보는 이의 마음을 비추는 거울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림들이 전하는 눈빛과 분위기를 통해, 관객 스스로 자신의 감정과 기억을 떠올리는 정서적 공감의 공간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
​

In meiner künstlerischen Arbeit versuche ich, jene flüchtigen Momente einzufangen, in denen sich innere Emotionen mit dem Rhythmus der Natur verbinden.

Besonders interessieren mich die Übergänge der Jahreszeiten, das Zusammenspiel von Licht und Dunkelheit sowie die feinen Gefühle, die sich in den Gesichtern von Menschen widerspiegeln.


Meine Malerei bewegt sich an der Grenze zwischen Figuration und Abstraktion.

Die dargestellten Figuren sind klar erkennbar, doch der Raum, in dem sie sich befinden, ist ein Zwischenraum – zwischen Realität und Traum, zwischen Erinnerung und Gefühl.

Der Hintergrund meiner Bilder ist mehr als eine Kulisse; er ist ein psychischer Raum, durchzogen von Zeit, Emotion und innerer Bewegung.


Wie der Moment, in dem der Winter weicht und der Frühling langsam Einzug hält, möchte ich in meinen Arbeiten die leisen, aber spürbaren Wandlungen des menschlichen Zustands sichtbar machen.


Die Figuren in meinen Bildern sind manchmal ein Spiegel meiner selbst – manchmal aber auch ein Spiegel für die Betrachter*innen.

Ich wünsche mir, dass meine Werke einen Raum für emotionale Resonanz eröffnen, in dem eigene Erinnerungen, Gefühle und innere Landschaften auftauchen können.



A U S S T E L L U N G E N _전시

​
  1. 전통거리 활성화 계획안_강릉시 미술관_ 입선

  2. 농촌 활설화 단지계획_강릉시 미술관_ 강원도건축가 협회상

  3. 농어촌 건축대전 전통마을 활성화 계획안_인사동 아트센터_ 입선

  4. 장스펜 하이브리드 목구조 시스템설계 경진대회_ 입선

  5. 리모델링협회 건축대전_코엑스&SH공사_ 특선

  6. 대학가주변 원룸촌 활성확계획(졸업작품)_강릉시미술관_ 총장상

  7. 용마초등학교 리모델링 신축 계획안_한국교육시설학회_ 입선

  8. 한국민족 예술단체:자발적 소비문화에대한 고발_인천아트폴랫폼_ 입선

  9. 서산시 희망공원 봉안당 증축 계획안_ 3등


  1. Plan für die Revitalisierung der traditionellen Straße_ Gangneung City Museum_ Honarable Mention

  2. ländliche Revitalisierung in Wohnsiedlung_Gangneung City Museum/Art Galleries in Insadong_Preis der Architektenkammer Gangneung/Honarable Mention

  3. Hybrid Holzkonstruktionssystem Design Wettbewerb_ Honarable Mention

  4. Planungswettbewerb Für moderne historische Gebäude(Reismühle )_COEX&SH Corporation_ 3rd Prize

  5. Plan für die Revitalisierung eines Universitätsviertel (Abschlussarbeit)_Kunstmuseum Gangneung_ 1st Prize

  6. Plan für den Neubau der Yongma Grundschule_KCI_ Honarable Mention

  7. Anklage gegen die Kultur des freiwilligen Konsums_Incheon Art Platform_ Honarable Mention

  8. Planungswettbewerb für den Anbau von Kolumbarium im Hoffnungpark in Seosan City_ 3rd Prize


B I L D U N G _교육

​
  1. Kwandong University in Gangneung  Südkorea_Bachelor of Architecture (absolviert)_관동대 건축학과 학사(졸업)

  2. seit 2025 Studium an der Freien Akademie für Malerei Düsseldorf_2025 뒤셀도르프 예술 자유아카데미 입합

​

B U C H _저서

  1. 저서: 입방체는 6개의 면을 가지고 있다_에세이 

  2. Buch: Kubus hat sechs Flächen_Essay

​
​